본문 바로가기
[Research]/ERP

[EEG&ERP] Virtual ERP Boot Camp: ERP Components 2- Naming Conventions

by 늘품비 NeulpumB 2023. 8. 7.

1) The conventions used to name peaks and components

  •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여기에 표시된 P3 파동과 같이 피크에 positive 또는 negative를 나타내는 P 또는 N으로 레이블을 지정한 다음 숫자를 붙이는 것입니다.
  • 경우에 따라 숫자는 파형의 the ordinal position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P1, P2 및 P3은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주요 positive 구성 요소입니다.
  • 물론 ordinal position이 아니라 the latency(ms)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visual N1은 종종 약 170ms에서 정점에 도달하므로 N170이라고 합니다.
  • 위 두개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P나 N 뒤에 5이하의 숫자가 붙으면 ordinary position을 의미하고, 5보다 큰 숫자가 붙으면 latency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P 또는 N이 전압(voltage) 자체가 positive인지 negative perse인지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N2는 제로라인 위에 올라가 있지만 N이 붙습니다.
  • 즉, P 또는 N은 피크가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HEADING인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N2 는 음으로 향하므로 N을 부여합니다.

 

  • 물론 실제로 뇌에는 negative components가 존재하지만, 이 구성 요소의 전압은 이 특정 전극 사이트의 다른 구성 요소의 positive voltages에 중첩되어, 결과적으로 두피 전압은 절대 마이너스가 되지 않습니다.
  • 이는 기본 구성 요소의 타이밍과 관찰된 피크의 타이밍 사이의 관계가 매우 복잡하고 눈에 보이는 피크보다 더 많은 기본 구성 요소가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2) Duality of Components

  • 또한 모든 구성 요소는 헤드의 한 쪽에는 양의 전압을, 다른 쪽에는 음의 전압을 생성합니다.
  • dipole의 양면을 볼 수 있을 만큼 머리를 충분히 덮는 전극이 없을 수도 있지만 구성 요소의 양극과 음극 모두 머리 어딘가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구성 요소는 한 전극에서는 P1이고 다른 전극에서는 N1일 수 있습니다.

 

  • 일차 시각 피질에서 오는 최초의 시각적 반응에는 P나 N을 사용하지도 않습니다. 이 반응을 C1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자극이 fixation 위 또는 아래에 제시되는지 여부에 따라 positive일 수도 있고 negative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이는 일차 시각 피질이 칼카린 열구(calcarine fissure)라고 하는 독특한 접힌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구조로 인해 상부와 하부의 비주얼 정보가 칼카린 열구의 서로 다른 면에서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상부의 시각 정보는 칼카린 열구의 하부에서 처리됩니다.
  • 이것은 상부 필드의 자극에 비해 하부 필드의 자극에 대한 dipole의 극성을 뒤집어 두피 전극에서 반대 C1 극성을 제공합니다: 결과적으로 두피 수준의 C1 반응은 자극(당신이 보고 있는 것)이 시야에 있는 위치에 따라 반대 극성(positive 또는 negative)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The number in a component label

  • P3파는 처음 관찰한 연구 에서는 약 300ms에서 정점을 보였기 때문에 종종 P300이라고 부르지일부 실험에서는 600ms까지 늦게 정점을 찍기도 합니다.
  • 그러나 그것은 동일한 뇌 과정이지만 작업의 난이도에 따라 다른 시간에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종종 P300이라고 불립니다.
  • EEG에서 가장 많이 보는 wave 중 하나인만큼, 해당 논문에서 P3 혹은 P300이 어떻게 가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일부 구성 요소는 양식에 따라 다르고(modality-specific) 다른 구성 요소는 양식에 독립적(modality-independent)입니다.
  • 예를 들어 시각 N1은 청각 N1과 전혀 관련이 없지만 청각 및 시각 자극 모두에 대해 동일한 P3파를 얻습니다.
  • 결론은 peak를 지정하는 명명법이 약간 엉망이라는 것입니다. 주어진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단어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영어와 비슷합니다.
  • 따라서, 다시 한 번 언급하지만 해당 논문에서 명명법이 어떤 것을 가정하고 있는지, 혹은 맥락상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를 확실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두 개의 다른 논문에서 N1 파동이 나왔다고 해서, 그 두개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더보기

QUESTION 1 OF 1

Imagine that you read a paper that refers to a peak in the waveform as "the P600". What could you infer with confidence from this name?  [Select all correct options.]

Choose ALL answers that apply.

  • A

    The peak was very near 600 ms in this study.

  • B

    The peak was either near 600 ms in this study or near 600 ms in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same peak.

  • C

    The voltage was positive at the electrode site where the peak was being measured (either in the present study or in previous studies).

  • D

    The voltage at this time was positive over the entire head.

 

 

The correct answer is 'B' 'C' 

When a latency is given for a peak or component, this is sometimes the latency of the peak in the present study but it is sometimes the "typical" latency of the peak. A "P" would be used in the name only if the peak was positive at the electrode where the peak was being measured. However, every underlying component is positive at some sites and negative at others, so the peak is likely negative somewhere on the scalp (but there might not be electrodes where the peak is negative).


위 내용은 본인 참조용이며,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ref) https://youtu.be/7qeECYAG3PA

by Steven J. Luck, https://erpinfo.org/